C드라이브에 빈 볼륨들이 여러 개 있다고 할 때에도 선작업으로 복구 파티션을 제거해 주어야 볼륨 확장이 활성화됩니다.
1. 복구 파티션의 제거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에 명령 프롬프트 또는 CMD라고 타이핑한 다음관리자 권한으로실행합니다.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실행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0 list partition select partition 4 delete partition override exit
2. C드라이브 용량 확장
이제 바탕화면에 있는 내 PC를 우클릭하여 관리를 누른 다음 디스크 관리를 클릭합니다.
이제 복구 파티션이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할당되지 않은 영역으로 변한 것이 보입니다.
C드라이브를 우클릭해 보면 아까와는 다르게 볼륨 확장 메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볼륨 확장을 클릭합니다.
그럼 볼륨 확장 마법사가 시작되는 데, 여기에서 좀 전에 새로 추가된 기존 복구 파티션이었던 영역뿐만 아니라 여분의 다른 파티션들도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할당되지 않았던 파티션이 더 있었다면 아래의 이미지에서 처럼 복구 파티션의 영역이었던 532메가 보다 훨씬 큰 용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간 선택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공간을 모두 다 늘려주려면 바로 위의 최대 공간 크기와 똑같이 써넣으면 됩니다.
2. JSP 액션 태그 : <jsp:include page="포함할 페이지" flush='false'/>
<%@include %>지시자와 <jsp:include>액션태그
1) include 지시자 <%@include file="ex03_02_sub.jsp" %> ㄱ. main.jsp + sub.jsp 합쳐져서하나의 서블릿 클래스가 생성 -> 출력 버퍼 ㄴ.공통적인 변수 또는 코딩이 있다면 사용 (마치 현재 페이지에 선언한 것 처럼)
2) jsp:include 액션태그 <jsp:include page="ex01.jsp" flush="false"> ㄱ. main.jsp 서블릿 클래스 sub.jsp 서블릿 클래스 각각 만들어짐(sub 실행될때 main 서블릿 잠깐 멈추고 sub 서블릿 끝나면 다시 main 실행) == main 서블릿 -> sub 서블릿 -> main 서블릿 ㄴ. TOP/BOTTOM/LEFT 등페이지의 Layout 잡을때사용
결과물은 같지만 완전히 다르다.
<jsp:include>
include 디렉티브
처리시간
요청 시간에 처리
JSP 파일을 Java 소스코드로 변환할때 처리
기능
별도의 파일로 요청 처리 흐름을 이동
현재 파일에 삽입
데이터 전달 방법
request 객체를 사용한 파라미터 전달 <jsp:param> 태그를 이용한 파라미터 전달
로컬에서 parameter라는 프로젝트의 get1.jsp를 불러왔기 때문에 링크가 http://localhost:8080/parameter/get1.jsp 로 노출되고 있다.
STEP5. 다음과 같이 적어주고 전송을 눌러준다.
STEP6. 받아온 파라미터 값을 확인한다.
이 때, URL을 확인하면 받아온 파라미터 값이 URL에도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ET 방식은 입력한 데이터 값을 URL에 붙여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다.
+ parameter에 한글을 추가하면 결과 페이지에서 한글이 깨질 때가 있다.
GET 방식일 경우 xml에 코드를 추가해줘야 한다.이클립스를 실행시키면 Project Explorer에Servers가 있을 겻이다. 여기에 있는server.xml파일을 연다. 참고로 톰캣이 설치된 폴더를 통해서도 server.xml에 접근이 가능하다. 아래 경로를 확인해 보면 server.xml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