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host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루프백(loopback) 호스트명으로,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한다.IPv4에서의 IP 주소는 127.0.0.1(RFC 3330에 정의됨)이며,IPv6에서는 ::1(0:0:0:0:0:0:0:1의 약자, RFC 3513에 정의됨)로 변환된다.로컬 컴퓨터를 원격 컴퓨터인것 처럼 통신 할 수 있어 테스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I & URL 차이점  (0) 2023.04.28
C드라이브 확장 안될 때(버튼이 비활성화 일 때)  (3) 2023.04.26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는 인터넷상의 모든 자원을 표기하기 위한 규격이고 URL(Uniform Resource Locator)는 URI의 서브셋으로 대표적인 URI 사용의 한 형태 이다. URL은 구체적인 파일자원등에 대한 주소라면 URI는 프로그램의 실행경로와 파라미터등을 포함한 형태 까지를 말한다.

http://www.xxx.com/product/productlist.html  -> URL
http://www.xxx.com/product/productlist?pid=1001022  -> URI
http://www.xxx.com/product/productlist?pid=1001021  -> URI

위의 예에서 URI 두개의 경우 모두 http://www.xxx.com/product/productlist 라는 동일한 URL을 가지고 있으며 식별자가 다른 URI가 된다.

 

 

출처 : https://dinfree.com/lecture/backend/javaweb_1.3.html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0.0.1, loaclhost란?  (0) 2023.05.02
C드라이브 확장 안될 때(버튼이 비활성화 일 때)  (3) 2023.04.26

C드라이브의 크기를 늘리려면 우클릭하여 볼륨 확장을 누르면 간단히 문제가 해결되는 데

복구 파티션의 존재는 C드라이브의 볼륨 확장을 못하게 막습니다.

 

 

C드라이브에 빈 볼륨들이 여러 개 있다고 할 때에도 선작업으로 복구 파티션을 제거해 주어야 볼륨 확장이 활성화됩니다. 

 

1. 복구 파티션의 제거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검색창에 명령 프롬프트 또는 CMD라고 타이핑한 다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창이 실행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0
list partition
select partition 4
delete partition override
exit

2. C드라이브 용량 확장

이제 바탕화면에 있는 내 PC를 우클릭하여 관리를 누른 다음 디스크 관리를 클릭합니다.

이제 복구 파티션이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할당되지 않은 영역으로 변한 것이 보입니다.

C드라이브를 우클릭해 보면 아까와는 다르게 볼륨 확장 메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볼륨 확장을 클릭합니다.

 

그럼 볼륨 확장 마법사가 시작되는 데, 여기에서 좀 전에 새로 추가된 기존 복구 파티션이었던 영역뿐만 아니라 여분의 다른 파티션들도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할당되지 않았던 파티션이 더 있었다면 아래의 이미지에서 처럼 복구 파티션의 영역이었던 532메가 보다 훨씬 큰 용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간 선택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공간을 모두 다 늘려주려면 바로 위의 최대 공간 크기와 똑같이 써넣으면 됩니다.

다음을 누른 다음 마침 버튼을 눌러 주면 간단히 작업이 모두 끝납니다.

 

 

 

출처 : https://itfix.tistory.com/969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0.0.1, loaclhost란?  (0) 2023.05.02
URI & URL 차이점  (0) 2023.04.28

+ Recent posts